Cell Therapy
Cell Therapy
- 줄기세포, 그 정의와 종류
- 줄기세포 치료시 보호자가 알아야 할 모든 것
줄기세포란?
- 줄기세포(Stem cell)는 기원한다는 뜻의'Stem'에서 유래하였으며, 일본에서는 원기세포 또는 뿌리에서 나오는 줄기라 하여 간세포라고도 합니다.
- 한 개의 세포가 여러 종류의 다른 세포를 생산할 수 있는 특성(다분화능)을 가진 세포로 손상 받은 신체 부위의 세포를 재생할 수 있습니다.
- 특히, 마땅한 의학적 수단이 없는 퇴행성, 난치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였습니다.
- 이렇게 손상된 장기나 조직을 줄기세포를 통해 재생하는 의학을 통틀어 재생의학(Regenerative Medicine)이라고 합니다.
줄기세포의 종류
배아줄기세포(Embryonic stem cell)
- 정자와 난자가 수정된 배아조직 중 배반포라는 조직에서 얻어지는 줄기세포 입니다.
- 신체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전분화능을 가지고 있지만, 핵 치환(세포의 핵 안에 들어있는 유전자를 교체하는 과정, 배아복제라고도 함)과정을 거쳐야 합니다.
성체줄기세포(Adult stem cell)
- 발생과정 후 존재하는 줄기세포 로써 신체의 각 부분에 발생이 끝난 이후에도 다양한 형태의 재생능을 가진 세포 입니다.
- 단일한 종류의 줄기세포가 아닌 골수, 제대혈, 피부, 지방조직, 신경조직, 간장, 췌담도 등에서 발견되는 줄기세포의 총괄적 집합체 이며 다분화능을 가지고 있습니다.
- 이러한 장기별로 발견되고 있는 성체줄기세포는 각 장기별 기원에 따라 역시 상이한 특성을 나타내며, 이들이 분화할 수 있는 영역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입니다.
- 하지만 많은 종류의 성체줄기세포들이 일정한 특성을 공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서로 다른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이 보고되어,
실제로는 공통의 줄기세포(Universal Stem cell)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성체줄기세포의 종류
- 조혈모세포 : 골수나 제대혈에서 분리되며, 골수이식에 널리 이용
- 중간엽세포 : 골수, 제대혈 및 지방에서 주로 분리
- 신경줄기세포 : 뇌 조직의 줄기세포를 채취하는 것에 윤리적 문제와 안전성 문제가 있음.
배아줄기세포 | 성체줄기세포 |
---|---|
[특성]
|
[특성]
|
[세포치료를 위한 당면과제]
|
[세포치료를 위한 당면과제]
|
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의 장점
- 성체줄기세포의 한 종류인 지방유래의 중간엽줄기세포(Adipos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)는 채취 시 편의성 및 안전성을 가지고 있고 다른 성체줄기 세포에 비해 1000배 이상 많은 줄기세포를 포함하고 있는 이유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.

국내 줄기세포 치료 관련 법
구분 | 인체용 줄기세포 치료제 | 동물용 줄기세포 치료제 | |
---|---|---|---|
줄기세포 치료제 | 줄기세포 치료술 | 줄기세포 치료제 | |
정의 | 줄기세포를 이용한 '약' | 환자유래 조직에 최소한의 조작만을 하여 다시 환자에게 투여하는 '의료행위' |
|
관련법 | 약사법 | 의료법 | 동물용의약품 취급규칙 |
검토 · 승인 기관 | 식품의약품 안전처 |
보건복지부 | 농림축산 검역본부 |
줄기세포 치료 적용 가능 질환
줄기세포는 체내에서 스스로 손상된 조직 등으로 이동하여, 이를 대체하거나 재생할 수 있는 세포입니다. 또한, 자기복제능력과 특정기능세포로 분화 할 수 있는 다분화 능력을 가지고 있어 난치성 희귀질환, 골 유합 촉진 및 염증 억제 등 다양한 질환에 적용가능하며, 그 효과가 인증되고 있습니다.
주요 적용 질환 | 질환 명 |
---|---|
뇌 질환 | 간질, 괴사성뇌염, 뇌위축, 소뇌경색, 수두증, 육아종성수막뇌염 |
안과 질환 | 각막궤양, 녹내장, 당뇨병성망막증, 돌발성후천성망막변성증, 안구건조, 진행성망막위축증(PRA), 포도막염 |
정형외과 | 고관절형성부전증, 관절염, 변형성관절증, 슬개골탈구, 이단성골연화증, 전십자인대 |
신경질환 | 말꼬리증후군, 변성성척수증, 변형성척추증, 섬유연골색전증, 요추탈추증, 위블러증후군, 원인불명마비, 척수공동증, 척수염, 척추불안정증, 척추연화증, 추체골절, 허니아 |
자가면역질환 | 건조성각결막염, 다발성근염, 다발성관절염, 류마티스, 봉와직염, 불명면역질환, 아토피성피부염, 염증성장질환(IBD), 용혈성빈혈, 피부근염, 혈소판감소증 |
내과 질환 | 급만성 신부전, 급만성 간부전, 당뇨병 |
줄기세포 치료의 부작용과 위험성
면역과민반응
인체에서는 동종줄기세포 치료 시 면역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나, 반려동물에서는 그 부작용이 거의 발생되지 않습니다.
암세포 증식
암 투병 환축 또는 의심 환축에게 투여하는 것을 고려해야합니다.
과량의 줄기세포를 I.V.을 할 경우, 혈관이 막힐 우려가 있으며 폐에 침착하여 호흡곤란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